fnctId=sbjMng,fnctNo=27 재료역학 Strength of materials 구조에 작용하는 하중과 응력에 관한 용어, 해석 방법 및 간단한 계산법을 학습하여 기계설계 또는 구조설계에 응용할 수 있다. Auto-NIEAuto-NIE 자동차관련 주제를 정하고 학생스스로 이에 대한 자료 수집, 자료작성 및 발표와 토의를 통해 자료수집능력과 자료작성능력 및 발표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졸업 후 회사 업무 수행 시 능동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는 강의한다. 자동차전기이론 Automotive Electronics Theory 자동차의 엔진, 차량 및 편의장치의 전장부품에 대한 기능과 구성부품에 대하여 이해하고 각 부분별 고장진단 방법을 이해한다. 특히 TACS 및 ETACS등 날로 증가되는 편의장치에 대한 기능 및 원리를 완벽히 파악함으로써, 실습과목의 이론적 기초를 수립한다. 열역학 Thermodynamics 열에너지를 활용하기 위한 기본 법칙과 사이클 특성을 이해하여 내연기관, 가스터빈, 압축기, 냉동기 등의 열기관의 작동원리에 응용할 수 있다. 자동차섀시 Automotive Chassis 섀시의 기본구조인 현가장치(Suspension system), 조향장치(Steering system), 제동장치(Brake system)의 기능과 작동원리를 습득하고 특히, 전자제어 시스템(ECS, EPS, ABS, EBD, HBA, TCS, ESP)의 주요 구조에 대한 기능 및 작동원리를 학습한다. 기관구조실습 Engine Fundamentals Practice 자동차기관 정비원리 이해 및 실습을 통한 정비실무능력 배양한다. 변속기정비실습 Transmission Practice 자동차정비 산업기사 수준에 해당하는 동력전달장치인 클러치와 변속기의 정비 기능을 익히고 이에 관련된 이론 및 각종 시험, 계측 기기의 사용법을 이해하게 강의한다. 자동차기관실습 Automotive Engine Practice 전자제어엔진의 구조 및 작동원리를 이해하고 정비실습을 통하여 스캔툴 등 각종 정비장비의 작동법 숙달 및 정비실무능력 배양을 목표로 한다. 자동차섀시실습 Automotive Chassis Practice 자동차정비 산업기사 수준에 해당하는 동력전달장치중 클러치와 변속기를 제외한 자동차섀시의 정비 기능을 익히고 이에 관련된 이론 및 각종 시험, 계측 기기의 사용법을 이해하게 강의한다. 자동차도장실습 Automotive Painting Practice 자동차 도막의 구조를 배우고, 도장용 장비와 공구, 다양한 도료의 사용법, OEM도장과 보수도장 방법과 조색 및 컬러매칭법을 학습한다. 자동차전기실습 Automotive Electronics Practice 차량의 충전, 시동, 점화, 등화, 계기, 편의 및 공조장치별로 고장현상 별 점검방법을 실무중심으로 논리적인 점검방법을 익히도록 한다. 특히 BCM(Body Control Module)시스템에 대한 고장진단방법을 추가하였다. 자동차검사 Automotive Inspection 기관실습, 섀시실습, 자동차 전기실습의 심화단계로써, 차량상태에서 이에 대한 실습을 중점적으로 교육하여 자동차정비산업기사에 대비한다. 아울러 실무중심의 자동차정비 관련교육을 실시하여 취업 시 현장적응력을 키운다. 자동차전자제어실습 Electronic Control Practice 자동차 제어에 많이 사용되는 알고리즘을 이해하고, GUI환경기반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 개발과정을 익힌 후, 제어입출력신호를 점검해봄으로써, 효과적인 자동차의 고장진단 및 정비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섀시제어실습 Chassis Control Practice A/T, ABS, EPS, ECS 등 중요 샤시장치의 제어원리 및 방법 등을 이해하고 각 장치의 고장진단 방법과 제조사에 따른 고장코드별 현상과 점검방법을 익힌다. 가솔린기관Gasoline Engine 자동차 동력장치로 사용되는 가솔린 엔진의 구조 및 구성 부품의 기능과 특징을 학습한다. 전반에 대한 작동원리, 구성부품의 기능 및 특징을 학습하여 관련부품의 개발 및 엔진 정비 시에 관련지식을 활용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일반기계공학General Machanical Engineering 기계공업 제조분야에서 사용되는 철과 비철금속 등의 활용 방법과 그 물리적, 화학적 특성 등을 알아보고 각 재료들의 제조방법과 특성 사용 예 등을 교육하여 실무분야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학습하고자 한다. 하이브리드전기자동차Hybrid Electric Vehicle 최근 대표적인 친환경자동차로 각광받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전기자동차의 도입 배경부터 시작하여 전동화에 따른 자동차의 전기전자 기초, xEV의 배터리 시스템(배터리 기초), 구동모터 및 회생제동, 전력변환 장치(MCU, 인버터, 컨버터, OBC), 전기자동차 특화 시스템(히트펌프 및 열관리), 하이브리드 엔진특성에 대해 구성 부품의 기능과 특징을 학습한다. 전기전자공학Electrical and Electronic Engineering 충전장치, 시동장치, 냉난방장치, 등화장치의 구조 및 기능과 기초전기전자가 자동차에 활용되고 있는 부분을 학습하여 습득한다. 디젤기관Autmotive Diesel Engine 자동차 동력장치로 사용되는 디젤 엔진의 구조 및 구성 부품의 기능과 특징을 학습한다. 디젤엔진의 전반에 대한 작동원리, 구성부품의 기능 및 특징을 학습하여 관련부품의 개발 및 엔진 정비시에 관련지식을 활용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CATIA 실습CATIA Practice CATIA V5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제도 규칙에 따른 3D 형상을 모델링하고, 각각의 단품을 조립하여, 형상 설계 오류를 사전에 검증하고 수정하여, 제작 전 형상에 관한 정보를 도출하는 능력을 얻고자 함. 자동차곡면설계실습Practice of Vehicle Surface Design CATIA V5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제도 규칙에 따른 3D 곡면 형상을 모델링하고 수정하며 모델링 데이터를 생성하고 출력할 수 있다. 전기자동차실습 전기자동차 특화시스템을 파악하여 각 자동모듈별 관련된 장치의 점검 진단을 하여 관련 부품을 수리, 교환, 검사하는 능력을 얻고자 함. 기관성능 및 배출가스실습Engine Performance and Vehicle Emission Test 동력성능 시험평가란 엔진시험, 동력전달계시험, 실차시험을 수행하여 성능 및 내구성을 평가하고 문제점에 대해 원인분석, 해결책 제시, 확인시험을 하는 능력이다. 자동차 연비·배출가스 시험평가란 자동차의 연료소모율 및 배출가스 배출량을 측정하여 법적 규제수준 준수 여부를 판단하며, 문제점에 대하여 원인분석, 해결책 제시를 하는 능력이다. 자동차외관디테일링Auto Detailing 자동차 튜닝 중 디테일링 작업에 있어 기본적인 내용을 학습한다. 자동차 디테일링 산업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계획, 작업, 검사 등의 현장실무 지식을 이해할 수 있다. 자동차정비실무Automotive Maintenance Practice 전자제어장치 정비, 배출가스장치 정비.검사를 학습하고 자동차정비산업기사 시험에 대비한다. 하이브리드자동차고장진단 하이브리드자동차 동력시스템을 이해하고 각 모듈별 점검 및 진단 방법을 이해한다.